성경교육 그만하시고 이제부터는 인성교육 시키세요!

필자가 섬기는 교회의 성도는 아니면서도 가까이 지내는 부부가 있습니다. 이민 초기에 한 동리에서 살았기 때문에 그 때의 인연으로 3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교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주 만나지는 않지만 필요에 의해서 가끔 만나는 것은 그 분이 하는 일 때문입니다. 서울의 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하고 한국계 미국 회사에 채용되어 이민을 오셨습니다.

그러다가 직장을 그만두고 개인 사업을 하고 계십니다. 10여 년 째 집사님이 하시는 일은 플러밍이었습니다. 매사에 성실하시고 맡은 일을 책임 있게 최선을 다하여 감당하시기 때문에 항상 바쁘게 살아가고 계십니다. 처음 직장 일을 그만두고 플러밍을 배우러 다니는 동안 왜 좋은 직장을 포기하고 힘들게 살려고 하느냐고 말을 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물론이거니와 미국에 이민을 와서도 육체노동을 하지 않은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전공한 분야와는 너무나 격이 다른 육체적 노동을 하려는 것을 아무리 좋게 이해를 하려고 해도 쉽게 용납이 되지 않았습니다. 사람마다 할 수만 있다면 편한 직장을 구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럴만한 자격이나 실력이 없는 것도 아니며 남보다 편한 삶을 살기 위해서 어려운 공부를 했던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때 집사님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회사의 사장이 한인 타운에서 이름이 크게 알려진 큰 교회의 장로님이라는 것입니다. 교회에서는 존경 받는 장로님인데 직장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교회 다니지 아니하는 사람보다도 못하다는 것입니다. 더욱 집사님을 견디기 어렵게 한 것은 사장 장로님의 인도로 같은 교회를 다니게 되고 나서 부터였습니다. 일터에서 매일 만나는 사장님과 교회에서 대표기도하시는 장로님은 같은 분인데 너무 다르다는 것입니다. 교회에선 인자하시고 성실하신 분으로 말과 행동에 조금도 흠과 티가 없는데 회사에선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회사 사장 장로님의 그런 이중적인 삶과 모습이 너무도 자신을 힘들게 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고민을 계속하다가 고용된 기간이 지나고 나서 회사를 그만둠과 동시에 사장 장로님이 시무하는 교회를 떠나 지금의 교회를 섬기고 있습니다.

수일 전 그 집사님의 부인이 필자의 집을 방문했습니다. 부인 집사님도 한가한 분이 아닙니다. 직장을 다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로 집사람과 가끔 안부를 전하다가 그 날은 작정을 하고 모처럼 토요일 하루를 집 사람과 보내기 위해서 저희 집을 방문 한 것입니다. 맛난 음식도 대접을 받고 재미있는 이야기도 듣던 중 어느 순간에 집 사람과 마주 앉아 이야기를 하던 중 두 사람의 곁을 지나다가 필자의 귀가 열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 내용은 이러합니다.

어느 날 남편 집사님이 같은 교회 성도님 가정의 일을 하고 돌아왔는데 평소와 달리 얼굴에 화가 크게 나 있었던 것입니다. 일터에서 무슨 일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 것입니다.

“여보! 왜 그래요! 무슨 일 있었어요! 차분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분이기에 평소에는 여간해서 화를 내는 일이 없어 말소리가 작았습니다. 그런데 그 날은 말소리의 톤이 평소와 달리 매우 화가 나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부인 집사님을 향하여 하는 말이 ”나 목사님 만나서! 우리 교회에서 성경공부 그만 시키고 교인들 인성교육이나 시키라고 말해야겠어요!”

그러면서 들려주는 말은 이러했습니다. 성경공부 모임에 빠지지 않고 오랫동안 열심히 공부하여 성경을 많이 아는 분인데 성경을 아는 것만큼 삶에서 말씀의 실천이 없다는 것입니다. 믿는 것과 행동이 같지 않은 것입니다. 교회 오래 다니고 직분이 올라가고 신앙의 경륜이 쌓일수록 신앙인격도 그러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가을 벌판에 황금물결로 아름다운 모습을 드러내며 익은 벼처럼 머리가 겸손하게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숙여져야하는데 교회안의 직분 자들의 자세가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집사님의 눈에 보이는 먼저 믿은 분들의 이런 삶이 다른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는 것입니다. 말은 잘하는데 마음은 곱지가 않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이웃에 대한 배려나 섬김이 없습니다. 일을 마치면 교회에서 계속 만나야 하는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는 것이었습니다. 관계를 하지 않았을 때는 몰랐는데 맡은 일을 하면서 같은 교회를 섬기는 교인, 같은 믿음의 사람이 타인처럼 느껴졌다는 것입니다. 먼저 믿은 분이면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자기보다 교회에서 직분이 높고 오래 되었다는 것만으로 아랫사람을 부리듯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마치 주인이 종을 대하듯 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교인을 오늘의 교회에서 만나기가 쉽지 않은 것입니다. 그 말을 들으면서 이것이 오늘 우리의 모습 교회의 현실이 아닌가를 생각하며 답답한 마음을 쓸어 내려야 했습니다.

이상기 목사

크리스찬투데이 http://christiantoday.us/23143